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

외인성 화학적 식중독(5) 금속제 금속제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식품용 기구나 용기 재질은 스테인리스제, 알루미늄, 청동, 구리, 무쇠의 총 다섯 가지로 구분합니다. 이 재질은 철, 니켈, 크롬, 알루미늄, 구리, 주석, 아연 등 금속이 단독 또는 합금 형태로 만들어져 식기, 기구, 통조림 용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비중이 4.0 이상이면 중금속, 4.0 이하이면 경금속으로 분류합니다. 용기 내 식품성분에 의한 용출, 용기 제조 시 오염, 용기 내 안료 성분, 농약, 각종 첨가물, 환경오염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인체 내로 중금속이 이행되고 오염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중금속이 체내에 축적되어 독성을 나타내므로 전 세계적으로 카드뮴, 납, 비소, 수은, 아연, 주석, 안티몬, 구리 등을 대상으로 독성연구가 활발합니다... 2023. 6. 11.
외인성 화학적 식중독(4) 합성수지제 합성수지제는 공통적으로 경제성, 가공성, 유연성, 비부식성, 전기절연성, 위생면 등 장점을 가지고 있고, 또한 재질별로 방습성, 내수성, 가스차단성, 무미, 무취 등의 특성을 나타내므로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지만 비부식성 및 비분해성으로 오히려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습니다. 합성수지제는 열 반응성을 기준으로 열경화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로 구분하고, 각각에 따라 무해하거나 또는 유해한 성분이 용출됩니다. 열경화성 수지는 주로 포름알데히드에 의해서 독성이 나타나고, 열가소성 수지는 수지 재질의 물성 개량 및 변질 방지를 위해 첨가하는 가소제나 열안정제와 같은 첨가제의 잔류나 용출에 의해 유해할 수 있습니다. 인체에 대한 위해 측면에서는 PS 2023. 6. 10.
외인성 화학적 식중독(3) 제조과정 중 혼입 1. PCB 폴리염화비페닐(polychlorinated biphenyl, PCB)는 내열성, 불용성, 전기절연성으로 변압기나 콘덴서에 우수한 가열매체로 사용되었습니다. 1968년 3월 일본에서 미강유 제조 중 부식된 열 파이프를 통해 PCB가 혼입된 미강유를 섭취한 환자들은 체중 1kg당 매일 67ng의 PCB를 섭취하였고, 5개월 후 약 14,000명의 만성중독환자가 발생하여 51명은 사망하였고 1,068명은 심각한 증세를 보였습니다. 또 미강유 함유 사료를 먹은 100만 마리의 닭 중 약 70만 마리가 폐사하였습니다. 대만에서도 PCB에 오염된 식용유를 섭취한 산모가 낳은 아이들에게 성장 지연, 미약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성기왜소증이 나타났습니다. PCB는 인체의 지방.. 2023. 6. 10.
외인성 화학적 식중독(2) 유해 감미료 단순당의 과용에 따른 건강상 폐해를 줄이고자 인체에 해가 적은 인공감미료로 대체하고 있지만 일부 가공식품류에서 여전히 불허용 인공감미료가 검출되고 있습니다. 1. 둘신(dulcin) 백색 분말의 요소 유도체로 설탕의 200~250배 감미도를 가지므로 여러 식품에 사용하였으나, 동물실험을 통해 분해되면 혈액독인 파라-아미노페놀이 생성되어 중추신경을 자극하고 간 종양을 유발하여 1966년부터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냉수보다 온수에서 쉽게 녹고 소화효소 작용을 억제합니다. 2. 사이클라메이트(cyclamate) 백색 분말로 설탕의 40~60배 감미도를 나타내고, 열안정성과 청량감을 제공하여 pH 2~10 범위를 가진 여러 식품에 만힝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나 발암 및 최기성으로 1970년 4월부터 .. 2023. 6.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