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

환경유해물질(3) 3. 비스페놀 A 1891년 러시아 디아닌에 의해 처음 합성된 대칭형 구조의 비스페놀 A는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나 에폭시 수지의 원료로 사용되는 등 경이로운 플라스틱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비스페놀 A가 내분비계 장애물질임을 최초로 보여 준 실험으로 1938년 도드(Dodd)등이 무난소 쥐에게 비스페놀 A를 주사하였는데 그 쥐에게서 에스트로겐 활성과 유사한 반응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생체로 이행된 비스페놀 A가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를 가져 활성화된 호르몬 수용체와 결합하여 내분비 교란을 일으킬 수 있는 환경호르몬임을 말해 줍니다. 여러 연구를 통해 비스페놀 A에 의해 쥐에게 초기 단계의 유방암과 전립샘암 유발, 비테로게닌의 생성으로 인한 수컷의 암컷화, 성조숙증 등이 나타나 이로써 인체에서도 정자.. 2023. 6. 17.
환경유해물질(2) 내분비계 장애물질 1. 다이옥신(류) 동물실험에서 기형이나 암을 유발하므로 국제암연구소에서 '인체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는 다이옥신은 고엽제를 사용한 베트남전 참전병사들이 호소한 고통과 건강이상으로부터 사회적 주목을 받게 되었습니다. 다이옥신은 청산가리의 1만 배 이상 독성을 나타내고, 1g으로 성인 2만 명을 죽일 수 있는 인류가 만든 최악의 유독물질입니다. 흔히 자연환경에 노출된 다이옥신은 비슷한 특성과 독성을 가진 모든 다이옥신류와 다이옥신 유사화합물을 총칭합니다. 다이옥신류는 세 개의 고리와 1~8개의 염소(chlorine)가 있는 방향족 화합물로, 가운데 고리에 산소원자 두 개인 다이옥신계 화합물과 산소원자가 하나인 퓨란계 화합물이 있는데, PCDD계의 이성질체는 75개, PCDF계는 135개의.. 2023. 6. 16.
환경유해물질(1) 방사성 동위원소 물질 1. 인체에 미치는 방사성 핵종 원폭실험의 방사성 낙진이나 핵연료 처리에 의한 폐기물에는 방사성 물질이 함유되어 환경오염의 위험성을 제공합니다. 이 사실은 1954년 태평양 비키니섬 핵폭발실험, 1979년 미국 스리마일섬 원자로 2호기 용융사고, 1986년 소련 체르노빌 원자로 방사능 누출,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확인되었습니다. 누출된 방사능은 대기에 머무르다가 식수나 농·수·축산물 경로를 통해 인체의 각종 표적 장기에 전리방사선을 가진 방사성 동위원소를 축적합니다. 핵분열 실험을 통해 인체에 가장 위험하고 빈번한 핵분열을 하는 물질은 Cs-137과 Sr-90으로, 물리적 반감기는 상당히 길어 각각 30.17년과 29.1년 입니다. Sr-89와 I-131은 반감기가 .. 2023. 6. 15.
유인성 화학적 식중독(3) 4. 아크롤레인 아크롤레인(아크릴알데히드, 알릴알데히드, 프로펜알)은 무색의 액체인 불포화알데히드로 공기 중에서도 쉽게 산화하여 아크릴산으로 되며, 장기 보존하면 중합하여 수지상 물질로 변합니다. 이 물질은 DNA 변이 초래, 세포의 수복능력 감소, 종양억제 유전자와의 결합으로 발암성을 제공하는 '인체발암물질'로 PAH보다 10,000배 더 강력합니다. 폐암 발병의 강력한 인자 중 하나인 아크롤레인은 담배나 가솔린이 연소하여 생성되는 매연에 많이 있습니다. 또한 발연점 이상의 식용유 증기에도 존재하는데, 이는 튀김음식을 많이 소비하는 중국의 비흡연 여성에게 비흡연성 폐암이 많고 기름요리를 많이 먹지 않는 인도나 방글라데시 여성에게는 발병이 적은 이유를 설명합니다. 고온에서 가열한 식용유를 반복 사용하면 .. 2023. 6. 14.
반응형